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종양센터

뇌종양 알기

Home > 뇌종양 알기 > 각각의 뇌종양 > 뇌하수체 선종

뇌하수체 선종

개요

질환 소개 

뇌하수체 선종이란 뇌 조직 중 호르몬 분비를 담당하는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을 의미하며, 이는 다시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과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분한다.
뇌하수체란 뇌의 정중앙부 하단에 위치한 신체기관으로, 주 기능은 다양한 호르몬의 분비이다. 이 호르몬들은 직접 신체에 영향을 미치거나 타 장기에 있는 호르몬샘의 기능 조절을 담당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우리 몸의 호르몬 분비를 총괄하게 된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유즙분비 호르몬(Prolactin),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갑상선 자극 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hic Hormone), 난포 자극 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황체 형성 호르몬(Leutenizing Hormone), 항 이뇨 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등이 있다.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중 성장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말단거대증 또는 말단비대증(acromagely)라고 하며,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쿠싱병(Cushing’s disease) 라고 하며, 유즙분비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프로락틴종(prolactinoma) 이라고 한다.

발병율

원발성 뇌종양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주로 성인에서 발생하며, 호발 연령은 30 - 50대이다.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다소 발생 빈도가 높다.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이 80% 정도로 더 흔하고,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중에서는 프로락틴종, 말단비대증, 쿠싱병의 순서로 흔하게 나타난다.

원인

특별히 밝혀진 원인은 없다.

증상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의 경우 가장 흔한 증상은 시력 저하와 시야 장애이다. 눈의 양쪽 가쪽을 가린 듯한 시야 장애가 특징이다. 기타 호르몬 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요붕증이 동반되어 소변을 많이 보거나, 갈증을 자주 느끼게 된다.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의 경우에는 각 호르몬의 과다 분비 증상이 나타난다. 프로락틴종의 경우 무월경, 유즙분비, 성욕감퇴 등이 나타나고, 말단비대증의 경우 말 그대로 손과 발 등이 거대해지고, 기타 심혈관 합병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쿠싱병의 경우 얼굴이 둥글게 되고, 등에 지방이 쌓이고, 중심성 비만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뇌 MRI 검사가 주요 진단 방법이다. 뇌하수체 부위를 정밀하게 촬영하는 뇌하수체 부위 MRI 검사를 추가로 촬영하기도 한다. 코를 통해서 수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비동 CT 검사도 시행한다. 

뇌하수체 선종의 MRI 소견: 뇌 정중앙부에 하얗게 조영 증강되는 종양이 위치하고 있다.
<뇌하수체 선종의 MRI 소견: 뇌 정중앙부에 하얗게 조영 증강되는 종양이 위치하고 있다.>

뇌하수체 선종은 호르몬 이상이 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혈액을 통한 호르몬 검사가 필수적이고, 시력, 시야 등의 안과 검사도 필요하다. 코를 통해 수술하는 경우 후각 검사도 필요하다. 

치료

내시경을 이용한 경접형동 뇌수술

최근 뇌하수체 선종을 수술하는 최신 기법으로 머리나 코 부위를 절개하지 않고, 내시경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방법이다. 양쪽 콧구멍으로 내시경과 수술 기구들을 삽입하여 수술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최소의 절개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내시경을 이용하여 신경외과와 이비인후과 의사들이 수술하는 모습1 내시경을 이용하여 신경외과와 이비인후과 의사들이 수술하는 모습2
내시경을 이용하여 신경외과와 이비인후과 의사들이 수술하는 모습3 내시경을 이용하여 신경외과와 이비인후과 의사들이 수술하는 모습4

<내시경을 이용하여 신경외과와 이비인후과 의사들이 수술하는 모습>

내시경 뇌수술에 사용되는 기구들
<내시경 뇌수술에 사용되는 기구들>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은 수술적 치료 후에 남은 잔여 종양이나, 재발한 경우에 그리고 1차적으로 수술을 시행할 수 없는 상황일 때 사용된다.

방사선 치료

종양의 크기가 크고, 수술이나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로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고식적인 방법으로 방사선 치료가 사용된다.

호르몬 약물 치료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의 경우 약물 요법이 1차 치료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수술 후에 발생하는 호르몬 결핍에 대해서는 호르몬 보충 요법을 하여야 한다.

예후

부작용

치료 후 드물게 출혈 등의 부작용으로 시력, 시야 장애, 호르몬 이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 기간 및 과정

주로 수술적 요법이 1차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며, 잔여 종양이 남았을 경우 추가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을 받아야 한다. 이후에는 수개월 또는 수년 간격으로 MRI 촬영하며, 종양의 재발 여부를 검사하고, 호르몬, 안과 검사를 함께 시행한다.

예후 및 재발

뇌하수체 선종은 대부분 양성 종양이지만, 시력, 시야 장애, 호르몬 장애 등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을 주는 증상을 많이 동반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완치될 수 있도록 치료하여야 한다. 내시경 뇌수술을 통한 적극적인 종양 제거 후에도 종양의 재발 등을 지속적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중 말단 비대증, 쿠싱병 등은 신경계 이외에 심혈관계 합병증을 많이 동반하기 때문에,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환자의 수명을 위협하게 되므로, 적극적인 치료를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