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연구활동

Home > 연구활동 > 결핵 및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연구실적

결핵 및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연구실적


부작용으로 인해 리팜피신을 중단한 약제 감수성 폐결핵 치료 경험 공유

리팜피신의 독성으로 인해 약물을 중단하게 된 약제 감수성 폐결핵 환자의 실제 진료 경험을 공유합니다. 리팜피신은 결핵 치료에 필수적이지만 부작용으로 인해 중단될 때가 많습니다. 상급 종합병원에서 리팜피신 중단 환자 114명을 18년 동안 조사한 결과, 92명(80.7%)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중단의 주요 원인은 간독성이었습니다. 치료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환자들은 젊고 동반 질환이 적었습니다. 대부분 환자는 집중 치료기에는 4가지 약물을 투여받았고, 유지 치료기에서는 3~4가지 약물을 투여받았습니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환자의 경우 평균 치료 기간은 10.2개월이었고 3.4년간의 추적관찰 동안 재발률은 2.2%였습니다.

external_image

Sci Rep 2023;13(1):11275

냉장 보관 기간에 따른 비결핵항산균의 배양률 변화 분석

냉장 보관된 가래에서 비결핵 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의 배양 양성률이 가래 보관 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습니다. 2020년 6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진행된 이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병원 방문 시점까지 4°C에서 보관된 총 6개의 가래 표본을 제공하였습니다. 35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226개의 표본의 평균 냉장 기간은 6일이었습니다. NTM 배양 양성률은 81.6%였으며, 3주까지 보관된 가래에서의 배양 양성률이 높은 편이었으나, 더 길게 보관된 가래에서의 배양 양성률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습니다. 냉장 보관된 가래의 NTM 배양 양성률은 신선한 가래 검체와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는 비결핵 항산균의 검출에 있어서 냉장 보관된 가래의 잠재적인 유용성을 나타냅니다.

external_image

Ther Adv Respir Dis 2023;17:17534666231162244.

BACES 점수: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환자의 예후 지표로서의 가능성

비결핵항산균 폐질환(nontuberculous mycobacterial pulmonary disease, NTM-PD)의 예후 지표로 BACES 점수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BACES 점수는 체질량지수, 나이, 공동 여부, 적혈구 침강 속도, 남성 성별의 요인을 기반으로 산출합니다. 681명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 BACES 점수가 높은 환자가 더 많은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ACES 중증도가 높을수록 질병 진행 위험이 커지고 치료 후 균 음전률은 감소했습니다. 기저 질환을 보정한 뒤에도, BACES 점수는 호흡기 문제나 감염으로 인한 사망 위험과 독립적인 연관이 있었습니다. NTM-PD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한 간단하고 효율적인 침상 도구인 BACES 점수는 통일된 중증도 평가를 위한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external_image

Sci Rep 2023;13(1):7495.

기관지확장증과 낮은 지방량 지수: 비결핵항산균 감염에 대한 새로운 관점

기관지확장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 사이에서 비결핵항산균 폐질환(nontuberculous mycobacterial pulmonary disease, NTM-PD)의 발병률은 높습니다. 본 연구에서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골격 근량, 그리고 지방량과 같은 파라미터와 NTM-PD 발병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245명의 기관지확장증 환자 중 106명(48%)이 NTM-PD로 진단되었습니다. 이 환자들은 주로 여성이었으며, 체중, BMI, 지방량, 지방량 지수(fat mass index, FMI) 모두가 낮았습니다. 다변량 회귀 분석에서도, 여성과 낮은 FMI는 NTM-PD 발병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습니다. 본 연구는 기관지확장증 환자들 사이에서 낮은 FMI가 나이나 기관지확장증의 중증도와 상관없이 NTM-PD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external_image

Medicine (Baltimore) 2021;100:e25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