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안과

진료과소개

Home > 진료과소개 > 연구실적

연구실적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고해상도 시신경유두조직의 3차원 영상 검사

본 의료진은 국내 최초로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기존에 살아있는 사람에서 관찰하기 어려웠던 안구의 여러 조직, 특히 안구 뒤쪽에 위치하는 망막과 시신경 조직의 구조의 고해상도 3차원 이미지를 얻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녹내장 환자의 시신경 손상과 복원에 대한 연구

본과의 김태우 교수는 녹내장 환자들에게서 안압을 낮추는 것이 시신경 내부 조직의 복원에 영향은 준다는 사실을 최초로 증명하였습니다. 현재는 녹내장환자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시신경유두조직 깊은 곳에 위치하는 조직인 사상판의 변형을 분석하여 녹내장의 발병 기전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으며, 연구 결과 중 일부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유수의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바 있습니다.

근시안에서의 시신경 이상에 관한 연구

본과의 김태우교수는 근시안에서 관찰되는 시신경의 이상이 선천적인 것이 아니고 성장과정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힌 바 있습니다.

무봉합유리체절제술

본과의 박규형교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을 2년(2006~2007)만에 500례를 달성해 단기간 내에 국내 최고 기록을 세운 바 있습니다. 처음 이 수술을 개발한 독일의 Eckardt 교수가 2005년에 40여 증례를 발표한 시기와 거의 비슷하게 시작하였고, 수술기록에 있어서도 Eckardt 교수를 제외하고 세계적으로도 이 수술에 대한 최고기록을 가장 먼저 달성하였습니다. 빠른 수술 회복과 뛰어난 수술 효과에 대해서는 국제학술지에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진단 및 조기 예측을 위한 유전학적 연구, 혈중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 신약 개발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의 유전자 연구와 혈액 내 단백체 연구를 통하여 질병의 조기진단을 위한 바이오 마커를 발굴하고 질병진단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러한 지식을 토대로 신약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안구내 약물전달 시스템의 개발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안구 내에서 장시간 안전하고 유효하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의 병리기전 규명 및 치료제 개발

당뇨망막병증의 병인을 규명하기 위한 세포 실험과 생체 실험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한국형 빛간섭단층촬영 장치의 개발

KAIST 와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세계 최고 성능의 한국형 빛간섭단층촬영 장치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눈꺼풀 악성종양의 예후와 관련된 biomarker 연구

눈꺼풀피지샘암, 눈꺼풀바닥세포암 등의 눈꺼풀 악성종양 환자의 조직을 다각도로 연구하여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biomarker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해상도 MRI를 이용한 뇌신경결손 진단

본과는 세계 최초로 사시 및 복시 환자에게서 눈 근육과 뇌신경 이상을 동시에 보는 고해상도 MRI를 개발하였으며, 세계 소수의 병원만이 이 기술을 이용한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두위측정장치 및 사진을 이용한 다양한 사시 진단

국내최초로 두위측정장치 및 사진을 이용한 다양한 사시 진단 장비를 개발하여 사시 진단 및 측정의 정확성을 높였으며 세계 소수의 병원만이 이 진단기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객관적 시력검사

국내최초로 시력표를 이용하지 않은 객관적 시력검사 장비를 개발 및 시행하여 객관적인 시력평가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컴퓨터를 이용한 새로운 색각검사 

본과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새로운 색각검사 장비를 개발하여 선천성 질환뿐 아니라 후천성 질환의 감별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눈물길폐쇄의 병인에 관한 연구

눈물길 폐쇄를 일으키는 다양한 외부인자와 내재적 요인을 밝혀 눈물길 폐쇄의 조기 예방 방안을 확립하고자 연구 중에 있으며, 본과의 김남주 교수는 경구 항암제가 눈물길 폐쇄를 일으킬 수 있음을 최초로 밝힌 바 있습니다.

후천적 덧눈꺼풀에 대한 연구

본과의 김남주교수는 선천성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졌던 덧눈꺼풀이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는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혀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