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찾아오시는 길입니다.
우)1362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공지사항을 알려드립니다.
다양하고 유익한 건강상식을 제공해 드립니다.
강 심장씨가 나의 가족이라면 당신은 어떻게 할까?
사람을 살리는 것은 의료인만의 의무는 아니다. 쓰러진 강 심장씨가 일상생활로 복귀하도록 돕는 가장 중요한 사람은 처음 발견한 목격자, 바로 당신이다!
심장은 우리 몸의 펌프로, 혈액을 통해 우리 몸 전체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심장의 펌프 기능이 중단된 상태를 심장마비라고 하며,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 몸으로의 혈액 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뇌는 혈액 공급이 4-5분만 중단돼도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발생시 바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럴 때에는 쓰러진 환자를 흔들어 깨워보고 반응이 없으면 즉시 119 신고 후 지침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심장마비의 대처방안으로는 신속한 심폐소생술이 있다.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그 순간부터 매 분마다 사망률이 증가하는데, 5분 이상 경과되면 뇌 손상이 시작되고 10분 이상 경과되면 소생가능성이 희박해진다. 심장마비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게 되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진다.
![]() |
1. 발견 후 의식확인 |
![]() |
2. 119 신고 |
![]() |
3. 흉부 압박점 찾기 |
![]() |
4. 흉부 압박하기 |
목격자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흉부 압박만 시행하고,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면 30회의 흉부압박 후 2회의 인공호흡을 한 주기(흉부압박30:인공호흡2)로 하여 5회 주기를 시행한다(2분 소요). 2분 후 환자의 상태를 다시 평가한다. 지속적으로 반응이 없으면 다시 흉부압박을 시행한다.
![]() |
1. 자동제세동기를 켠다. |
![]() |
2. 전극패드를 그림대로 붙인다. (소아용/성인용 구분 필요) |
![]() |
3. 심장리듬 분석 후, 심장충격(제세동) |
![]() |
4. 위의 절차를 반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