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흡연자도 피해갈 수 없는, 암 사망률 1위 폐암 감수. 호흡기내과 윤호일 교수 폐암은 수년 전부터 국내 암 사망률 1위를 달리는 무서운 암으로, 최근에는 비흡연자 및 고령의 폐암환자가 늘면서 이러한 악화 추세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중앙암등록본부에 따르면 폐암의...
누구도 방심할 수 없는 당뇨병 감수. 내분비내과 최성희 교수 우리나라에서 현재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만성 질환 중 하나가 당뇨병입니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환자는 500만명 이상으로, 30세 이상 성인 7명 중 한 명이 당뇨병으로 고생하고 있...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는 네 가지 생활습관 글. 산부인과 이정렬 교수 홍조, 가슴 두근거림, 불면증과 수면 부족, 우울증까지… 폐경은 여성의 삶에서 피할 수 없는 커다란 변화의 시기다. 갱년기에는 폐경에 이르기 전 2~8년에 걸쳐서 여성호르몬의 변화가 극적으로 일어나게 ...
중장년층 남성을 괴롭히는 대표적 질환, 전립선 비대증 글. 비뇨기과 홍성규 교수 노화와 남성호르몬 수치의 저하로 나타나는 전립선 비대증은 남성의 전립선 크기가 커지면서 소변이 배출되는 통로인 요도가 좁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전립선이 크다고 해서 무조건 전립선 비대증인 ...
환절기 불청객, 감기와 독감 글. 호흡기내과 박종선 교수 추운 날씨와 건조한 공기로 감기에 걸리기 쉬운 환절기입니다. 어떤 분은 독감 예방 접종을 했는데 감기에 걸렸다고 불평을 하시곤 합니다. 하지만 ‘독감’은 독한 감기라는 뜻이 아니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
아삭한 가을무로 챙기는 가을 입맛 영양실. 염해선 영양실장 가을무는 ‘인삼보다 좋다’고도 하지요. 강수량이 많은 여름에 수확한 무보다 조직 밀도가 높아 영양분이 농축되어 있고 더 단맛이 나기 때문이랍니다. 비타민 함량이 높고 소화 작용도 돕는 아삭한 가을 무는 그 쓰임...
노인 넷 중 하나는 고위험군, ‘가족의 병’ 치매 감수.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매년 9월 21일은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치매를 극복하기 위한 범국민적 공감대 형성 및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해 치매관리법이 정한 '치매극복의 날'이자 세계보건기구(WHO)...